논란의 주인공 ’82년생 김지영’
2016년에 발간되어 베스트셀러로 이름을 떨치며, 무려 100만 부 유통을 달성할 정도로 많은 이슈를 낳았던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원작으로 만든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공개하였습니다. 영화의 제작부터 캐스팅, 촬영 소식은 물론 공개 소식까지 이슈를 나은 이 영화는 많은 논쟁이 되었고 그러한 부분이 노이즈 마케팅되어 생각보다 많은 관중을 불러 모았습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에 태어나 2019년 오늘날 어려운 취업 환경 속에서 취업을 위해 열심히 살아가는 김지영'(정유미)의 아무도 몰랐던 이야기를 그린 작품입니다.
’82년생 김지영’은 개봉하기 전, 다수의 사람들이 각각의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그 세대를 살아간 여성이라면, 충분히 그러한 시대의 전통을 받아들이고 살아간 세대 아닌가?” 라는 의견이 대대수 였습니다. 혹시라도 젠더 이슈를 건드릴 만큼 난해한 이야기를 쉽사리 입박으로 언급하는 영화관객도 논란의 여지를 인지해서인지 의견을 조심하는 눈치였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1982년에 태어난 주인공 ‘김지영’을 중심으로 그녀의 어머니를 비롯한 많은 여자 성인들의 이야기를 그려냈습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지영의 어린 시절부터 지금, 그리고 어머니와 할머니, 시어머니와 직장 동료들까지 다양한 여성을 통해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다들 그렇게 살아간다고 생각할 정도로 각자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의 내용은 누가 잘못했다고 말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 시대의 자신의 삶을 살아간 사람들의 스토리이자 자신이 하고자 했던 일들을 해나가며 전진한 이들의 내용입니다. 그저 이 이야기가 여자 성인 인물들에 집중했다고 해서, 이것이 젠더 갈등을 유발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입니다.
’82년생 김지영’의 논란의 소재
영화 속 내용을 통해 여자 성인을 옹호하거나, 혹은 여성이 차별을 당했다는 이슈가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여성들이 그저 이러한 상황들을 겪었을 법하다고 말하는 정도로 무심하게 말하는게 대부분의 태도입니다. 오히려 이 영화가 어떠한 여자의 스토리가 될 수 있는 것처럼, 반대로 어떠한 남자의 스토리가 될 수 있는 소설이나 영화가 나온다면 이렇게 자극적으로 내뱉는 갈등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되었습니다. ’82년생 김지영’은 단순히 ‘지영’의 스토리만이 아닌, 그녀의 남편인 ‘대현’의 이야기이자, 반대로 그 윗세대인 지영의 어머니 ‘미숙’의 이야기이기도 한, 그 우리 모두의 스토리라 할 수 있습니다. 취업을 통해 힘들게 일하면서 여성라는 이유로 아기를 키우며 일과 가사 노동을 강요 받으며 살아가는 여자 성인 모습을 전형적으로 보여 주는 영화이기도 합니다.
엄마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지영’의 상황을 모두가 온전히 공감하진 못하겠지만, 아이이자 학생이었던, 그리고 사회 초년생인 ‘지영’의 이야기들은 일부 공감할 수도 있습니다. “여자는 그저 조신하게 행동해야 해”라는 말부터 손자를 더 위하는 할머니의 행동, 그리고 누군가가 쫓아와 두려워하는 순간에도 걱정해주는 말로 던지는 “교복 치마는 왜 그렇게 짧게 하고 다녀?”, “여자애가 일찍 일찍 다녀야지” 등의 말들을 대부분의 여성들이 들어 봤을 것입니다. 또한 어린 시절에 볼 수 있었던 할머니 댁에서의 분위기까지 연출하고 있으므로 일부 여러 이들이 공감될 수 있는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82년생 김지영’ 영화의 캐스팅 소식부터 좋지 않은 말들을 들어야 했던 배우들은 생각 이상으로 인물의 역활을 잘 표현해냈습니다. 예고편에서부터 의문점을 남겼던 ‘지영’의 특이한 행동은 정유미의 멋진 연기로 완성되었으며, 공유 또한 ‘대현’이라는 인물을 통해 영화가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연기하였습니다. 벌써 세 번째 호흡을 맞춘 두 사람은 이번에 처음으로 부부 역활로 만나게 되었는데, 각자 서로에게 필요한, 더불어 내용에 중요한 인물을 잘 표현하였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엄마 ‘미숙’으로 출연한 김미경을 비롯하여 ‘김팀장’ 박성연, 언니 ‘은영’ 공민정과 동생 ‘지석’ 김성철까지 다들 굉장한 열연을 보였다는 평이 대다수입니다.